int32 GuardedMain(const TCHAR* CmdLine)
{
#if !(UE_BULID_SHIPPING)
if (FParse::Param(CmdLine, TEXT("waitforattach"))
{
while (!FPlatformMisc::IsDebuggerPresent());
UE_DEBUG_BREAK();
}
#endif
...
}
언리얼을 실행시킬 경우, 실행인자로 -waitforattach라는 파라미터를 넣어줄 수 있다.
파라미터 이름에서 쉽게 유추 가능한 기능인데, 해당 파라미터를 넣으면 언리얼은 엔진 실행을 wait하며 디버거가 붙기를 기다려 준다.
디버거가 붙었다면, UE_DEBUG_BREAK를 이용하여 디버거에 신호를 준다.
쿠킹 로직을 따라가보고 싶은 경우에 사용하면 상당히 유용하다.
'프로그래밍 > Unrea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Unreal] 클래스의 Prefix를 F로 사용하는 이유. (0) | 2022.05.01 |
---|---|
Unreal의 스레드와 단일 스레드로 실행시키기 (-norenderthread) (0) | 2022.04.06 |
GetTypeHash의 구현 (0) | 2021.02.23 |
TEnableIf (0) | 2020.11.24 |
Unreal Engine의 저작권 (0) | 2020.11.24 |